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최신 마케팅 트랜드 ] 긱 이코노미를 주목하라
    OLI의 사회시간/마케팅 트랜드 2020. 7. 9. 03:27

    안녕하세요 오늘은 최신 마케팅 트랜드 중에 하나인 긱 이코노미를 이야기 하려고 합니다. 요즘 트랜드를 잘 파악 하여야 그것에 맞는 마케팅,경영 전략을 짤 수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저는 요즘 이 '긱 이코노미'와'비대면 소비'에 많은 관심이 있는 상태입니다. 물론 이 두 트랜드는 서로 비슷한 점이 많습니다. 

     그럼 긱 이코노미는 무엇일까요? 이것은 밀레니얼 세대가 경제적인 주체를 잡기 시작하면서 우리의 경제에 부각되기 시작했는데요. 밀레니얼 세대하면 떠오르는 것이 무엇이 있습니까? IT, 글로벌 실업난, 워라밸 등이 있겠지요? 이 모든 단어 긱 이코노미로 설명이 되는데요. 이것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GIG이라는 단어는 미국재즈 공연장에서 단기적인 연주자를 부를 때 사용하는 단어였습니다. 감이 오시나요? 즉 GIG 워크는 단기적이고 필요할 때만 부르는 불안정 고용상태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정규직이 되지 못하고,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머무르면서, 투잡, 쓰리잡이 필수불가결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취업 전쟁에 뛰어 들지도 못하는 상황인 사람들은 애초에 불안정 고용시장을 택하게 되었죠. 디지털 노마드로써 일을 시작하거나, 쿠팡플렉스를 신청하여 하루 일하여 하루 버는 노동자가 이에 해당합니다. 

     이 긱 이코노미 속에서 크게 성장한 브랜드는 우버, 배달이 민족, 에어비엔비, 쿠팡 등이 있습니다. 한국의 기업을 사례로 이 경제 체제에 대해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긱 이코노미는 인건비의 상승으로도 과속화 되었는데요. 기업은 점점 더 정규직을 뽑기 어려워졌고, 기술을 배울 필요 없이 할 수 있는 단순노동 일을 아르바이트나 비정규직 직원에게 맡겼습니다. 그들은 언제든지 해고당 할 수 있고, 해고하더라도 기업에게 손해는 없었죠. 이런 상황이 노동시장의 긱 현상을 초래했는데요.

     기업은 노동 유연화를 이룰수 있었지만, 근로자는 경제적 불안감을 얻게되었죠. 물론 긱 이코노미가 다 나쁘다는 것은 아닙니다. 이것은 누가 인위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시대의 흐름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앞으로 더 고착화 될 것입니다.

     이럴 때 국가는 이런 비 정규 노동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만들어 국민의 최소한의 권리를 보장해주어야겠죠. 실제 쿠팡 일용직 노동에 지원자가 너무 몰려서 한 건 2000원 하던 배송단가가 700원까지 떨어졌다고 합니다. 이런 점은 최고기관의 정책으로 조율이 된다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위는 긱 이코노미의 노동시장에 대해서 이야기 했는데요. 이 경제 상황은 불안정한 노동 시장과 IT의 발전 그리고 소비자의 다양해진 니즈로 생겨났습니다. 특히 IT발전이 큰 기여를 했는데요. 이 노동시장에 근로자들은 보통 스마트 기기를 통해서 모든 업무를 전달 받고 전달합니다. 

     언제 어디서든 업무를 받고 신청할 수 있고 보고할 수 있는 상황이 이 긱 이코노미를 가속화 시켰습니다. 엄마들은 아이를 등원시키고 쉬는 시간에 재택근무를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빠들은 퇴근길에 우버를 통해 택시기사를 할 수 있게되었죠(외국사례). 실제 긱 경제체제는 이런 노동의 유동성도 가져왔습니다. 

     예전에는 배달 가게를 운영하면, 무조건 오토바이 배달원을 사용해야했지만, 이제는 배달 대행업체에게 맡기면 됩니다.그것도 무려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호출할 수 있습니다. 당일 배송, 로켓 배송, 심야 배송은 이 일을 하려는 지원자가 있기 때문에 가능한 배송 방법이 되었습니다. 

    긱 이코노미의 두 얼굴은 우리가 잘 분석해야하는 부분입니다. 기업은 보다 저렴한 가격에 프리랜서를 고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업을 혁신시킬 인재는 더 비싸질 수 있습니다. 

    만약 본인이 현 마케팅 업에 종사하거나, 창업을 준비한다면 이런 긱 이코노미 노동시장과 경제상황에 대해서 잘 분석하는 것을 권유해드립니다. 본인이 하려는 창업에 도움이 되는 새로운 체제는 받아드리고 피해가 가는 부분이 있다면 예방책을 만들어 두어야합니다. 

Designed by Tistory.